(정보제공: 주사우디대사관)
사우디 경제 및 에너지 동향('25.04.11.-17.)
1. 일반경제 및 투자
o SNB를 위시로 한 사우디 주요 금융사들은 향후 십여 년간 이루어질 막대한 규모의 인프라 투자(기가 프로젝트 붐)를 앞두고 관련 투자딜을 확보하기 위해 은행이 보유 중인 부실채권(NPL, non-performing loans)를 털어내고자(offloading) 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
- 보통 사우디 금융사들의 NPL 비율은 낮은 수준(전체 채권의 1.3% 수준)이고, NPL 거래 관련 규제도 우호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관련 시장도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였으나, 사우디 기가프로젝트에 투입되고 있는 막대한 규모의 자금은 사우디 금융사들의 자기자본 및 유동성 비율에도 영향을 미치기 시작함.
- 상기와 같은 상황이 변하면서 사우디 금융사들의 동 움직임에 동 채권매수에 관심이 있는 부채펀드 투자자(specialist debt funds)들이 주목하기 시작한바, 향후 사우디 금융시장에서 부실채권의 개별 거래가 아닌 주요 NPL 포트폴리오 딜이 활성화 될 수 있음.
o 현재 두바이와 리야드에 지점을 보유한 KKR & Co. 투자회사는 최근 美 육군 장군 출신 David Petraeus를 중동지역 회장으로 임명하며 걸프지역프라이빗 에퀴티(PE, 사모펀드) 시장 내 입지를 강화함.
- David Petraeus는 전직 CIA 국장으로, 이라크 및 아프가니스탄 미군 사령관으로서, KKR은 동 임명은 중동지역내 고위급 정부인사들 및 지역내 딜메이커들(국부펀드)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음.
- 현재 중동(걸프)지역 시장에서는 KKR 이외에도 Warburg Pincus LLP, Permira 등의 사모펀드 업체 및 BlackRock Inc, Bookfield Asset Management, CVC Capital Partners Plc, Geenral Atlantic 등의 국제펀드(자산운용사)들이 입지를 강화하고자 노력 중임.
o 사우디 커피 체인점인 Barn’s은 중동지역으로 사업 확장을 위해, 적어도 수억불의 규모로 기대되는 리야드 증시에서의 IPO 준비에 착수하기 시작함.
- 1992년 설립된 Barn‘s (소유주는 Al Amjaad Trading & Manufacturing)는 현재 사우디, 바레인, 이집트 등에서 850개의 지점을 운영 중이며, UAE, 오만, 쿠웨이트, 모로코로의 사업 확장을 통해 2030년까지 약 1,000개 지점설립을 목표로 하고 있음.
- 현재 저유가가 중동지역의 핵심리스크를 위협하는 가운데, 주요 걸프 증시의 금융가들은 최근 최악의 시장 혼란이 감소하면서 조만간 지역 내 딜(IPO 등)이 재 개시 될 것을 희망하고 있음.
o 다수의 사우디 기업들*은 최근의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IPO 계획을 여전히 계속 추진하고 있음.
- 조만간 IPO를 추진할 계획이거나 이미 추진(승인 대기)한 사우디 기업으로 Flynas, Ejada Systems, SMC(Specialized Medical Co.), United Carton Industries Co. Sports Club Co. Al Majed Real Estate Co., Marketing Home Group Co. 등이 있음.
- 걸프증시 금융가들은 동 지역이 美 관세정책에 상대적으로 고립되어 있고 신흥경제와 맞물려 있는 만큼 이번 1분기 딜파이프라인이 최근 국제금융시장의 혼란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 Saudi Tadawul Group에 따르면, 올해 들어 현재까지 사우디 기업들의 새로운 상장으로 인한 총 공모액은 약 20억불 이하이며, 2022년 이후 최대 수인 15개 기업이 상장한 작년의 경우 총 공모액은 40억불임.
2. 에너지
o (美 에너지부 동향) Chris Wright 美 에너지부 장관은 4.11일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현 트럼프 정부 하에서 美 원유 및 액화천연가스(NGL)의 생산이 늘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함.
- 또한 중동지역 투어의 일환으로 사우디를 방문해 사우디 에너지부 장관과 면담을 한 동 장관은 4.13일 리야드에서 열린 기자들과의 문답에서 향후 4년간 현 트럼프 정부 하에서 평균유가(lower average energy prices)*는 전임 정부 대비 더 낮아질 것이라고 언급함 (그러나 구체적인 목표 수치는 밝히지 않음).
* 전임 바이든 정부 시절(2017-2021년) 평균유가는 $83불 이었음.
o (수요 전망) 원유 수요 전망은 급격하게 변하고 있는바, OPEC 및 IEA는 올해 수요성장세를 크게 하향전망하고 있으며, 일부 국제금융사들도 유가 전망을 하향조정*하고 있는 상황임.
* JPMorgan Chase & Co.는 올해 Brent $66 수준을 전망 중임.
- (OPEC 전망) 최근 국제석유시장전망 보고서 발표(4.14)에서, OPEC은 무역전으로 인해 2025년 및 2026년 석유수요성장세 전망을 일 약 10만배럴 하향조정해 일 130만배럴의 성장을 예측했으나, OPEC+의 예측치는 업계 다른 기관 대비 여전히 상당히 높은 수준*으로 나타남.
* 美 EIA는 전주 약 30% 전망을 하향조정해 일 90만배럴의 성장, 골드만삭스는 일 50만배럴의 성장을 전망함.
- (IEA 전망) 최근 국제석유시장전망 보고서 발표(4.15)에서, 올해 국제석유수요성장전망을 대폭 하향조정(기존 전망의 1/3 수준, 일 73만배럴->30만배럴)하며, 석유의 초과공급 상황은 수요가 감소하면서 2026년까지 지속될 것이며 2026년에는 수요성장세가 더욱 둔화될 것으로 전망함
o (공급 전망) 골드만삭스 최근 분석에 따르면, 올해 대규모 초과공급(약 일 80만배럴의 규모)이 예상되는바, 시장은 이미 미래의 재고량 축적량을 가격(유가)에 반영한 상태임.
3. 산업
o QIC(Qiddiya Invetment Company)에 따르면, Qiddiya 프로젝트*에서 Six Flags 테마파크(89% 완공) 및 Aquarabia 워터파크(84% 완공) 등이 거의 최종 건설단계에 이른 것으로 알려진바, 2025년 말까지 동 테마파크들을 오픈할 계획임.
- QIC는 올 2월에 공식으로 미 Six Flags Entertainment Corporation를 동 테마파크들의 운영사로 공식 임명함.
- 또한 올 2월부터 Qiddiya Entertainment City 내 퍼포먼스 아트센터도 건설 관련 입찰을 준비 중임.
- 동 Qiddiya 프로젝트는 사우디의 5대 공식 기가프로젝트 중 하나로서,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레저 목적으로 방문하는 방문객의 수요를 늘림으로써 사우디 레저관광산업을 활성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됨.
o SABIC이 최대주주(31.5%의 지분 보유)인 스위스계 화학사 Clariant AG는 지난 3년간 거의 50% 이상 주가 가치가 하락하며 2011년 이후 주가 최저치(시가총액 33억불)를 기록한바, 최근 주가를 올리기 위한 방법을 모색 중인 것으로 알려짐.
- 지난 수년간 Clariant사의 주가 대폭 하락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 이후 높은 에너지 비용으로 인한 유럽 화학산업의 침체와도 관련이 있음. 끝.